728x90
반응형
2차전지 기술(음극재)
음극재 이론
- 충전 시 양극에서 나오는 리튬이온을 받아들이는 소재
- 리튬이온배터리에선 낮은 전자 화학 반응성, 구조적 안정성과 낮은 가격을 고려해 흑연을 사용
- 흑연은 탄소가 결합한 층이 여러 겹 쌓인 규칙적 구조, 충전 과정으로 음극에 도달한 리튬 이온은 탄소층 사이에 저장
- 반복 충전으로 흑연 부피 변화는 구조 변형을 유발해 수명 감소 요인이 됨
- 배터리 내부 분자 구조적 특성을 고려한 제품 개발이 필수적
- 양극소재 개발이 한계에 도달하며 음극 소재 변경이 가장 큰 기술 방향성으로 급부상함
분류 | 특성 | 용량 |
흑연계 | 높은 안정성 높은 수명 가격 문제로 천연과 인조흑연 혼합 사용 추세 |
인조흑연 - 320~360mAh/g 천연흑연 - 350~370mAh/g |
비경질 탄소계 | 높은 출력 짧은 수명 고속 방전에 유리한 특성 |
235~350mAh/g |
금속(실리콘, 주석 등) | 낮은 안정성 짧은 수명 고용량 배터리에 적합 |
700~1000mAh/g |
음극재 기술 방향(SiOx계)
-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는 소재를 개발하는 것이며, 합금계 음극재, 화합물 음극재, 고출력 음극재로 나눌 수 있음
- 이 중 합금계 음극재에서 금속과 탄소 복합계 소재인 실리콘산화물(SiOx)계 음극재가 가장 주목받는 소재임
- SiOx계 음극재의 실리콘 소재는 이론용량이 3590mAh/g으로 흑연의 이론용량 372mAh/g보다 10배 이상의 용량을 갖고있음
- 고용량에도 불구하고, SiOx계 음극재는 충방전을 반복하며 실리콘의 물리적 구조 붕괴로 용량 안정성이 낮음
- SiOx는 1500~2000mAh/g 이론용량을 가지며 순수 실리콘보다 용량 안정성이 월등히 높음
- SiOx에 존재하는 산소가 리튬과 반응해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산화물을 형성하고 충방전 시 구조적 붕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함
- SiOx의 핵심 기술은 음극 내 산소량과 분포 미세 제어를 통한 균일성임
SiOx계 음극재 특징
- 장점
- 마이크로 이상 크기에서 불가능한 반응을 나노를 통해 상온 구현 가능
- 리튬 확산 거리 축소로 최대 용량 구현과 반응 속도 향상
- 리튬 합금화로 모양 변화 시 발생하는 변이 완화
- 단점
- 전극 밀도 감소로 전지 부피당 에너지 밀도가 낮아질 수 있음
- 나노크기 입자는 표면적을 넓게해 전해액 부반응과 열적 반응 증가로 가역효율 및 안정성 문제 발생 가능
- 작은 입자이기에 전지 제조 공정 중 슬러리와 전극제조 단계에서 균일하고 일정한 전극 형태 구현에 어려움
- 나노기술을 적용한 활물질 생산 제조 비용 상승
- SiOx계 음극재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소재를 나노화해야함
SiOx계 음극재 기술1. 활물질 개발
- 일산화규소(SiO)는 나노결정립의 Si, 비정질 SiOx 매트릭스 내 섬 형태의 미세구조로 탄소코팅된 형태임
- 리튬과 반응해 SiO-C 물질의 초기 효율을 낮추며, 결정적으로 용량과 밀도 향상이 크지 않음
SiOx계 음극재 기술2. 바인더 소재 개발
- Poly Acrylic Acid(PAA)계, Carboxy Methyl Cellulose(CMC)계, Polymide계 바인더가 각광받음
- 기존 PVDF 또는 SBR계 바인더는 부피 변화가 흑연보다 상대적으로 심한 실리콘에 부적합함
- 신규 바인더 소재는 공통적으로 기존 바인더에 비해 높은 강성과 접착력을 보임
- 실리콘 활물질 부피변화에서 오는 전극구조 변화를 최소화시켜 전극 충방전 특성을 유지할 수 있음
SiOx계 음극재 기술3. 도전재 개발
- 도전재는 전극에서 활물질 입자 간 또는 금속 집전체와의 전도도 향상과 바인더가 부도체로 작용하는 것 방지
- 배터리 내 전하의 이동통로 역할
- 도전재 종류는 덴카블랙, CNT
- CNT가 기계적 특성이 가장 우수, 섬유 형태로 활물질 입자 사이 탄력있는 전도성 다리 역할
- 여러 사이클 중 발생하는 부피 팽창에도 입자 사이 접촉을 긴밀하게 유지
- 용량이 기존보다 500mAh/g 더 높음
- 양극 물질과 합성했을때 저항이 현저하게 낮음
728x90
반응형
'기술과 산업 설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차전지 기술(분리막) (1) | 2023.11.22 |
---|---|
신재생 에너지 동향 (0) | 2023.11.20 |
2차전지 기술(양극재) (1) | 2023.11.14 |
2차전지 원리(리튬이온 배터리, 양극재) (2) | 2023.11.03 |
테스트 소켓과 프로브 카드 (1) | 2023.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