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도전재, 바인더, 양극기재(Al)
- 양극 = 양극기재(Al) + 양극활물질 + 도전재 + 바인더
- 양극은 양극의 틀을 잡아주는 얇은 알루미늄 기재에 활물질과 도전재, 바인더가 섞인 합제
- 활물질은 리튬이온 포함 물질임
- 도전재는 리튬산화물 전도성을 높이는 것
- 바인더는 알루미늄 기재에 활물질과 도전재가 잘 정착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접착 역할
- 양극 도전재는 CNT 도전재 사용 중
- 기존 Super-P 대비 약 10% 이상 높은 전도도 구현으로 도전재 사용량 약 30% 감소 가능
- 양극 도전재에는 MW(Multi-Wall) CNT가 사용됨
- 음극 도전재에는 SW(Single-Wall) CNT가 사용
- LG화학과 금호석유화학이 증설한다는 CNT는 양극 도전재용 MWCNT
- 전체 배터리 원가의 1% 정도 비중
- 양극재 지지체로 전자의 이동 통로 역할
- 모든 박(Foil) 제조 공정은 압연 방식과 전해(전기분해)를 이용한 도금 방식
- 구리 박의 경우 전기분해와 도금이 수월해 전해동박 방식이 가능
- 알루미늄은 반응성이 높아 도금이 어려워 압연방식만 사용
- 알루미늄박의 경우 기술 차이가 미미하고 시장 파이가 작아 주로 중소기업이 진입 중
- 기술방향은 이미 가격 효율화가 마무리된 상태로, 더 이상의 기술향상은 의미가 없음
- 2차전지 양극박 제조공정으로는 압연기 - 중합기 - 압연기 - 분리단재기 - 소둔로로 구성됨
728x90
반응형
'기술과 산업 설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이니켈 NCM 배터리 기술 (0) | 2021.12.15 |
---|---|
양극재 기술의 방향 (0) | 2021.12.15 |
양극재 원리, 양극활물질 (0) | 2021.12.14 |
리튬이온배터리 기본 원리 (0) | 2021.12.14 |
NFT 설명 (0) | 2021.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