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과 산업 설명

2차전지 기술(알루미늄박과 동박) 알루미늄박 양극 집전체 전체 배터리 원가의 1% 비중으로 양극재 지지체로 전자의 이동 통로 역할을 함 모든 박(Foil) 제조 공정은 2가지로 나뉨 압연 방식 전해(전기분해)를 이용한 도금 방식 구리 박의 경우 전기분해와 도금이 수월해 전해동박 방식 가능 알루미늄은 반응성이 높아 도금이 어려워 압연 방식만 사용 알루미늄박의 경우, 기술 차이가 미미하고 시장 파이가 작아 중소기업이 진입함 기술 방향은 이미 가격 효율화가 마무리되어 기술향상의 의미가 없음 동박 음극 집전체 배터리 원가의 7~8% 비중, 음극을 형성하는 집전체 역할 구리박은 반응성이 낮아 전기분해와 도금이 수월 전해공정을 통해 박막화가 가능하며 현재 기술력 차이는 두께임 압연동박이 전해동박에 비해 비싸지는 두..
탄소가격 탄소가격의 중요성 탄소가격은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유도하는 효과적인 정책 수단으로 파리협적 이후 탄소중립 선억 국가들은 이를 시장 기반의 배출권 거래제로 도입 중 전세계적 73개 지역에서 배출권 거래제가 도입,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23%에 해당 국가 및 지역별 동향 EU는 탄소누출 최소화를 위해 규제 도입 중, 탄소 누출을 제한하는 CBAM 도입 대상 품목이나 적용 범위를 확대할 가능성 있으며, 석유화학과 원유정제를 추가할 수 있음 국내 대응 및 중요성 한국 기업들은 CBAM에 대비해 탄소 경쟁력 강화 필요, 특히 철강과 자동차 업계는 선제적 대응 필요 한국은 이미 지불한 탄소가격을 CBAM에서 차감받을 수 있지만, 정부 간 협의에 따라 차감량에 변동 있을 것 ETS(온실가스 배출권..
2차전지와 지정학적 이슈 전동화의 필요성 지구 온난화와 탄소 배출 점감의 필요성 지구 표면 평균 온도는 산업혁명 이후 150년 간 1도 상승, 현재 상승 속도로는 향후 20년 내 0.5도가 추가 상승할 것 IPCC는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온도 1.5도 상승 예상을 2021~2040년으로 예상, 이를 위해 2050년까지 탄소 배출량 NetZero를 해야한다고 강조 경제적 이익을 통한 탄소 중립 달성의 중요성 탄소 중립 달성은 단순 윤리적, 환경적 당위가 아닌 경제적 이익을 통해 추구해야함 물가: 화석 연료 의존도 감소로 에너지 가격의 물가 상승 압력 완화 가능 일자리: 재생에너지와 전기차 산업은 신규 시설 투자 및 일자리 창출 기회 제공 중국 견제: 탄소 중립 경제 전환은 중국에 큰 부담을 주고, 이를 ..
2차전지 기술(전해액) 기본 원리 전해액은 리튬이온 양극과 음극 사이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하는 물질 리튬염, 용매, 첨가제로 구성 리튬염 리튬이온이 지나갈 수 있는 이동통로 표준은 LiPF6로 음이온의 크기가 크고, 이온전도가 우수 대체: LiFSI, LiPO2F2, LiDFOP, LiBOB 등 용매 염을 용해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유기액체 고리형 카보네이트(EC, PC 등)을 기본 용매로 활용, 사슬형 카보네이트(DMC, DEC, EMC 등)을 보조 용매로 활용함 대체: EA, MP, EP, PP 등 첨가제 용매와 반응해 보호막을 만들어 불순물 생성 억제로 양극재 표면을 보호하는 역할 주로 VC, FEC, VEC, PS를 사용 대체: SN, ADN, RPS, DTD 등 기본 용매는 전기장 세기가 ..
2차전지 기술(분리막) 분리막 원리 양극과 음극의 접촉을 막고 미세 기공을 통해 리튬 이온만 이동할 수 있도록해 과전류를 차단하는 필터와 같은 역할 제조공정에 따라 분리막은 습식막과 건식막으로 분리 분리막 특성1. 물성 기준 기본적 물성 기준치에 따라 고물성의 필요 유무가 나뉘며, 물성 기준치를 넘기면 고물성은 필요치 않음 습식분리막 기본 필름에 첨가제를 추가해 화학적으로 기공을 만드는 기법 균일성이 높고 강도도 세며, 주로 고용량과 고출력 등 고사양 요구 배터리에 많이 사용됨 건식분리막 기계적 힘으로 필름을 당겨 기공을 만드는 기법 쉬운 제조방식과 저렴한 비용이 장점이지만, 균일하지 못한 기공과 약한 기계적 강도가 단점임 분리막 특성2. 젖음성(wettability) 분리막의 기본 소재로 사용되는 PE..
신재생 에너지 동향 3분기 실적 신재생 에너지의 종합 실적은 매출액 2.1조원 YoY -3.4%, 영업이익 997억언 YoY -63.3% 기록 풍력 부문은 매출액 6448억원 YoY +19.9%, 영업이익은 585억원 YoY +32.5% 기록 태양광 부문은 매출액 1.4조원 YoY -11.2%, 영업이익 412억원 YoY -81.9% 기록 풍력 부문 세부내용 씨에스윈드, 씨에스베어링, SK오션플랜트 등 외형 성장이 영향을 주었음 대명에너지는 안마해상풍력 관련 손실 및 외형 축소로 손실을 기록함 프로젝트 중단 우려로 풍력 부문은 어려운 상황임 태양광 부문 한화솔루션과 HD현대에너지솔루션의 외형과 이익이 감소됨 중국 태양광 기업들의 P타입 모듈 공급과잉으로 인한 업황 부진 유럽에서의 태양광 시장 축소 등으로..
2차전지 기술(음극재) 음극재 이론 충전 시 양극에서 나오는 리튬이온을 받아들이는 소재 리튬이온배터리에선 낮은 전자 화학 반응성, 구조적 안정성과 낮은 가격을 고려해 흑연을 사용 흑연은 탄소가 결합한 층이 여러 겹 쌓인 규칙적 구조, 충전 과정으로 음극에 도달한 리튬 이온은 탄소층 사이에 저장 반복 충전으로 흑연 부피 변화는 구조 변형을 유발해 수명 감소 요인이 됨 배터리 내부 분자 구조적 특성을 고려한 제품 개발이 필수적 양극소재 개발이 한계에 도달하며 음극 소재 변경이 가장 큰 기술 방향성으로 급부상함 분류 특성 용량 흑연계 높은 안정성 높은 수명 가격 문제로 천연과 인조흑연 혼합 사용 추세 인조흑연 - 320~360mAh/g 천연흑연 - 350~370mAh/g 비경질 탄소계 높은 출력 짧은 수명 고..
2차전지 기술(양극재)양극재 기술방향(하이니켈 NCM 배터리 기술)리튬이온 배터리에서 양극재는 안전성을 높이고 가격을 하락해야함양극재로 에너지 밀도를 높이기는 어려워, 차세대 배터리로 리튬이온이 아닌 다른 소재로 접근해야함하이니켈 NCM의 단점인 안정성 하락과 빠른 성능 저감을 해결하는것이 기술적 방향안정성 하락은 잔류 리튬으로 인한 문제, 빠른 성능 저감은 4가 전이 이온과 전해질 사이 반응으로 층상구조 변이가 원인문제점1. 잔류리튬 니켈 이온반지름은 니켈과 비슷함니켈이 리튬에 위치하는 양이온 혼합이 자주 발생리튬층에 위치한 리튬이 열처리 과정 중 이산화탄소나 물과 반응하는 경우가 있음이산화탄소와 반응한 탄산리튬(Li2CO3), 물과 반응한 수산화리튬(LiOH)이 양극 표면에 존재하면 잔류 리튬이 됨잔..
2차전지 원리 리튬이온 배터리 배터리 양극은 리튬의 산화환원 전위/전압 대시 3~5V 사이에 위치하고 음극은 0~2V 사이에 위치 리튬이온 배터리의 최대 이론 전압은 5V, 상용화 전합은 4V 양극재와 음극재 사이 전압차인 전위/전기에너지 위치가 배터리의 전압임 전압의 크기는 에너지 밀도의 크기와 비례함 에너지 = 전압 * 전류 * 시간 용량 = 전류 * 시간 에너지밀도 = 전압 에너지 밀도는 결국 자동차의 동력을 의미하며, 2차전지에 대한 연구는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것임 에너지 밀도를 높이기 = 전압 높이기 = 전위차 확대 = 음극재 전위 낮게 또는 양극재 전위 높게 만들기 양극재 리튬이온 배터리는 리튬, 전이금속, 산소가 3개의 축을 이루고 있음 리튬은 양극과 음극을 오가며 전하 용량을 결정함 전이..
> 테스트 소켓과 프로브 카드 산업 반도체 제조 과정의 마지막 단계인 웨이퍼 및 패키지의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한 장비와 소모품으로 사용 테스트 소켓 최근 AI 기술의 급성장으로 고성능 CPU와 GPU의 수요가 증가해 이러한 반도체 제품의 테스트 소켓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는 중 국내에서는 리노공업을 포함한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테스트 소켓 제조 중 AI 기술 확산으로 테스트 소켓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 프로브 카드 국내에서는 주로 NAND Flash용 프로브 카드를 생산했으나, 최근에는 DRAM용 프로브 카드 시장으로 확장하려고 하는 중 국내 코리아인스트루먼트, 티에스이, 마이크로투나노 등 기업에서 국내 메모리 반도체 IDM(Integrated Device Manufacturer)..
DD0
'기술과 산업 설명'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