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Lidar 라이다 기술
-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은 레이저 펄스 발사 후 빛이 주위의 대상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과 주파수 차이를 계산해 물체까지의 거리 등 측정하여 주변 모습을 정밀하게 그려내는 장치
- 원거리 물체 파악 용이, 높은 분해능으로 물체의 형태와 거리 정확하게 파악, 조명 환경 변화에 영향이 적음
- 눈, 비 등 반사될 수 있어 날씨에 따른 제약 존재, 높은 기계적 요구 조건으로 상용화를 위해 추가적 원가 절감 필요, 발광 소자의 전력 효율성 개선 및 소형화 과제 필요
- 라이다는 레이저 송신부, 레이저 검출부, 신호 수집 및 처리 리시버, 데이터 송수신부로 구성
- 기계식 라이다
- 내부 모터 장착, 모듈 회전시키며 레이저 빛 사방에 조사해 주변 정보 인식
- 고해상도의 장점, 제조 단가가 높고, 회전 모터 존재로 내구성이 약함
- 고정형 라이다
- 단점 극복으로 거울을 활용한 레이저를 주변에 조사하는 고정형 탄생
- MEMS 미러(초소형 정밀 거울)을 정밀하게 회전, 진동시켜 레이저를 조사하는 방식 고안
- MEMS 미러는 시스템 크기가 작아 소형화, 생산성이 용이해 양산성이 확보됨
- 소자가 작아 구동 범위가 제한적이며 광정렬 문제 등이 발생함
- OPA Lidar(Quanergy)
- 빛의 간섭 원리 기반, 기계식으로 움직이는 부분 없이 빛이 나아가는 방향을 전기적으로 조절하는 광소자 OPA센서를 활용한 라이다
- 기술 성숙도가 낮아 상용화는 아직 되진 않았으며, 차량용 라이다 개발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
- FMCW Lidar(Aeva, Aurora)
- 주파수 변조 레이저 처프를 주변에 조사하고, 돌아온 처프의 위상과 주파수를 측정해 시스템의 거리와 속도 측정
- 기계적 요구조건 낮음, SoC 구현 용이, 기술성숙도에 따라 미래형 라이다의 기준이 될 가능성 있음
- 3D Flash Lidar(Leddartech, Ouster)
- 3D 플래시 라이다는 레이저 빔을 굴절 렌즈로 대면적 펄스를 확대해 전방을 비추는 기술
- 면적 단위 이미지를 포착해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빠르고, 반사 강도 측정에 용이함
- 측정 거리에 따라 다른 강도의 레이저가 필요함
728x90
반응형
'기술과 산업 설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NFT 설명 (0) | 2021.12.05 |
---|---|
NFT 관련 단어 (0) | 2021.12.05 |
자율주행 차량 구성 (0) | 2021.09.22 |
탄소배출권 (0) | 2021.09.20 |
수소 경제의 수소와 암모니아 (0) | 2021.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