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차전지 기술(전해액)
기본 원리
- 전해액은 리튬이온 양극과 음극 사이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하는 물질
- 리튬염, 용매, 첨가제로 구성
- 리튬염
- 리튬이온이 지나갈 수 있는 이동통로
- 표준은 LiPF6로 음이온의 크기가 크고, 이온전도가 우수
- 대체: LiFSI, LiPO2F2, LiDFOP, LiBOB 등
- 용매
- 염을 용해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유기액체
- 고리형 카보네이트(EC, PC 등)을 기본 용매로 활용, 사슬형 카보네이트(DMC, DEC, EMC 등)을 보조 용매로 활용함
- 대체: EA, MP, EP, PP 등
- 첨가제
- 용매와 반응해 보호막을 만들어 불순물 생성 억제로 양극재 표면을 보호하는 역할
- 주로 VC, FEC, VEC, PS를 사용
- 대체: SN, ADN, RPS, DTD 등
- 기본 용매는 전기장 세기가 작아지는 유전율이 높은 특징이 있어 리튬염을 녹여 양/음이온이 쉽게 분리됨
- 하지만, 점도가 높아 전해액 내 리튬 양이온의 빠른 이동을 방해하게 되어 점도가 낮은 보조 용매를 첨가함
첨가제
- 첨가제로 Sn(Succinonitrile), An(Adiponitrile), VC(Vinylidene Carbonate), Phosphazene 화합물이 해당됨
- 모든 첨가제는 리튬염 자체가 불순물이 되지 않도록 리튬염과 공융 혼합되는 성질이 있음
- Sn는 구리 용출 방지, 저휘발성, 열적 안정성, 리튬염과 공융 혼합이 우수한 특징
- An은 고에너지밀도, 낮은 가연성 및 인화성, 리튬염과 공융 혼합이 우수한 특징
- VC는 음극표면과 Solid Electrolyte Interphase 특징을 갖고 있어 리튬 이온은 통과 시키고 전자는 통과시키지 않음
- 히시콜린 난연제와 같은 phosphazene 화합물은 기본골격은 인과 질소, 전지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며, 연소 시 연기를 내지 않는 성질과 불에도 타지 않는 성질의 효과가 있음
- Sn과 AN이 VC 등에 비해 에너지 밀도와 장수명, 저휘발성, 안정성 우수, 용량 증대에 용이하게 대응됨
728x90
반응형
'기술과 산업 설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소가격 (0) | 2024.03.29 |
---|---|
2차전지와 지정학적 이슈 (0) | 2024.03.29 |
2차전지 기술(분리막) (1) | 2023.11.22 |
신재생 에너지 동향 (0) | 2023.11.20 |
2차전지 기술(음극재) (0) | 2023.11.16 |